늘품
  • 변호사소개
  • 교통사고
  • 산업재해
  • 생명상해 손해보험
  • 일반사건
  • 찾아오시는 길
무료온라인 상담신청
교통
작성자 성명 임**
연락처 010--
피해자 생년월일 -11-08
사고일자 2014-11-01
피해자의 직업 및
월 소득액(급여액)
-세금공제전 기준
진단명(초진주수) /
수술유무 /
입원기간
사고경위 1. 11월 1일 차량 사고 (차량 3대 연중추돌 - 1호차 급정거, 2호차 정차성공, 3호차 정차실패하여 앞차 충돌, 그 충격으로 2호차가 1호차 충돌)
2. 가족 차량이지만 무보험(1인 한정) - 경찰 중재하에 개인간 합의보기로 하고 헤어짐
3. 사고 후 보험사와 연락을 하였고 책임보험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됨
4. 보험사에서 전적으로 사고차량 차주와 보험사와 연락.
5. 1호차 - 탑승인원 2인 / 남녀(50대) / 전치 3주
2호차 - 탑승인원 2인 / 남녀(50대) / 전치 2주
6. 2호차 차량 수리비 입금 + 보험사합의 완료
7. 1호차는 보험사와 지속적인 연락 및 협의
8. 1호차 보험사합의 완료 - 합의 사실을 3호차 보험사에게 알려주지 않음 + 처음에는 부부라고 했으나 나중엔 연인관계로 밝혀짐
9. 1호차 돌연 경찰 신고 (11월 21일 경) - 3호차 운전자(본인) 고속도로 순찰대 출석하여 사고 경위서 작성
10. 이미 합의가 된 상황에서 경찰에 신고를 했다는 이유로 인감이 있는 합의서 요청(경찰 측)
11. 합의를 보려 했지만 요청 합의금은 200 이상





현재

1번 차량 대물 + 대인 병원비 + 보험사 합의금(인당 130) = 420만원(2인 토탈)

2번 차량 대물(130만원 지급완료) / 보험사 합의(인당 60만원) / 무보험차상해 처리 = 정산중 입니다.



2번 차량의 경우 나이스한분들이라 잘 넘어 갈 것 같지만 문제는 1번 차량입니다.



1번차량의 경우 위의 420 만원을 지급한 후 남는 비용은 개인 합의금입니다.

저는 보험사 합의금도 제가 지불한 비용이니 그거까지 감안하여 개인 합의로 30정도 더 드린다고 했더니

그건 자기들이 보험사에 구상권 청구한 금액이기에 합의금과는 상관이 없다며 인당 300씩을 더 요구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해당 금액은 말도 안되는 금액이기에 벌금을 물을 생각입니다.

이때, 공탁이라는 제도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질문드립니다.



1. 공탁 없이 벌금을 무는 것과 바로 벌금을 무는 것, 어떤 것이 더 나을까요?

2. 현재 제 상황에서 공탁을 걸게되면 얼마를 걸어야 할까요?

3. 1번차량 보험사가 420만원 청구를 넣었습니다. 해당 금액을 지불 후 공탁 or 벌금 쪽으로 가야하나요?

4. 혹시 공탁이나 벌금쪽으로 가게된다면 피해자 각각의 집으로 편지 or 전화로 사고관련 연락이 가는지요?



그동안의 사례를 비추어 최대한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깔끔하게 글 안써주시고 생각나는대로 말씀해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좋은하루 보내세요!
답변 내용
답변)



1.2번차량 두분과의 깔끔한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라면 1번 차량에 대해서는 일부공탁으로

처리 하셔도 벌금액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사고로 추정됩니다.



2.물론 1,2번차량 전체와의 형사합의가 이루어지는게 최선이기는 합니다.



3.경찰서 사고신고된 경우이므로



4.약식명령후 최종 선고까지는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사고로 추정 됩니다.



5.참고적으로 구약식 이후 정식재판청구 하셔야 합니다.
교통사고
의료사고